국내 환경기업 중국 진출 ‘잰걸음’
수정 2014-07-08 00:00
입력 2014-07-08 00:00
중국 대대적 환경 투자… 韓·中 협력 본격화
환경부가 하반기 ‘중국 환경시장 진출전략’을 가동할 계획인 가운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중국 베이징과 우한에서 환경기술 로드쇼를 개최하는 등 잰걸음에 나섰다. 한·중 양국은 지난 3일 ‘환경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중국 내 제철소에 우리의 집진, 탈질·탈황기술을 적용하는 ‘대기오염 방지 실증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중국은 중동부지역을 ‘생태문명도시’로 건설한다는 계획을 수립, 환경문제 해결에 2015년까지 435조원을 투자한다. 특히 미세먼지를 줄이는 사업에 2017년까지 304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중국이 환경에 대한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동북아 환경개선 및 국내 환경기업들의 중국 시장 진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중국이 원하는 집진·탈질·자동차 매연 저감 등 7대 유망 기술과 베이징과 산둥성 등 환경 수요가 많은 5개 중점 지역을 중심으로 맞춤형 진출전략을 마련, 접근할 계획이다. 실제 중국의 제철소 고로(1351기) 중 29%에 달하는 392기가 노후돼 대기오염 방지시설 개량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국내 환경기술의 실증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하반기에 ‘한·중 환경기술 실증화 지원센터’를 설립하고, 법률자문·신용조사·수출보험서비스 등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위험관리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환경부는 선택적 집중을 통해 2017년까지 대중국 환경 수출액이 1조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박용규 환경부 과장은 “정상회담과 양해각서 교환으로 그동안 진입 장벽이 높았던 중국의 대규모 장치산업 진출이 가능해졌다”면서 “실제 투자가 이뤄지는 정부부처 및 지방성과 협력을 확대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의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4월 상하이와 선양에 이어 7일 베이징과 9일 우한에서 현지 맞춤형 환경기술을 소개하는 기술로드쇼를 개최한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7-0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