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2명만 “우리 사회 안전하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08-25 00:46
입력 2014-08-25 00:00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체감 급락

국민 10명 중 2명만이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등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안전체감도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24일 안전행정부의 ‘4대 악 국민안전체감도 조사’에 따르면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는 응답은 올해 상반기 평균 23.9%로 지난해 하반기 평균 28.5%에 비해 하락했다. 반면 같은 기간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29.5%에서 39%로 급증했다.

4대 악 국민안전체감도 조사는 박근혜 정부의 4대 악 근절 대책에 대해 국민이 느끼는 성과를 모니터하기 위해 지난해 7월부터 매월 실시하고 있으며 결과를 6개월마다 공개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19세 이상 일반인 1000명, 중고생 1000명,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1월을 제외하고 매월 실시했다.

특히 국민안전체감도는 지난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급격히 하락했다. 그 직전인 3월에는 ‘안전하다’는 응답이 32.6%였으나 세월호 참사가 터진 4월에는 18.5%, 다음달인 5월에는 16%까지 추락했다. 하지만 6월 들어서는 20.1%로 소폭 상승했다.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4대 악 근절과 관련한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도 다소 높아졌다.

전반적인 사회안전체감도가 악화한 것과 달리 4대 악 중 성폭력과 학교폭력에 대한 불안 정도는 다소 나아졌다. 성폭력에 대한 불안 정도는 지난해 하반기 49%에서 45%로 4% 포인트 낮아졌고, 학교폭력도 지난해 하반기 60.5%에서 54.9%로 5.6% 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가정폭력은 ‘불안하다’는 답이 14.5%에서 17%로 높아졌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2014-08-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