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트레인’ 접경지역 깨운다
수정 2014-09-11 02:41
입력 2014-09-11 00:00
경의선·경원선 잇따라 운행 시작
휴전선 비무장지대(DMZ) 접경지역을 연결하는 ‘DMZ트레인’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정부의 접경지역 발전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정부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DMZ트레인을 활용해 군사시설 보호 등 각종 규제로 발전이 정체된 접경지역 시·군의 관광산업 등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10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지난 5월 운행을 시작한 ‘경의선 DMZ트레인’(서울역~도라산역), 지난달 운행을 시작한 ‘경원선 DMZ트레인’(서울역~백마고지역)이 경기·강원 북부 접경지역의 안보·생태·역사 관광자원 개발에 디딤돌이 되고 있다. 안행부는 이를 통해 지역 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접경지역은 DMZ에 인접한 강원 철원군과 경기 연천군 등 15개 시·군으로 각종 군사시설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개발 규제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안행부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통일부 등 11개 정부 부처는 2030년까지 165건의 사업에 국비 5조 4000억원과 지방비 1조 4000억원, 민간자본 12조원 등 총 18조 8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안행부는 시·군 간 연계사업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철원군 남방한계선에서 연천군 임진강 하류까지 흐르는 79.3㎞의 한탄강 수계 연결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철원군과 연천군, 포천시 등 3개 시·군이 참여하는 ‘한탄강 발전정책 협의회’를 운영해 한탄강 종주길 조성과 연계관광 활성화, 수계관리 등을 협의하고 있다. 안행부는 지난달 30일 양구군 두타연 계곡에서 열린 2014 평화누리길 걷기대회 행사에서 경기도, 강원도와 ‘접경지역 상생발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 관광객들이 DMZ에 대한 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통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dmz.go.kr)를 구축했다. 온라인을 통해 DMZ의 역사, 현황, 관광지 등을 소개하고 접경지역의 특산물, 맛집, 숙박시설도 안내하고 있다. 아울러 DMZ와 접경지역에 관심을 가진 공무원 연구모임인 ‘DMZ연구동아리’를 구성했으며,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해 홍보하는 ‘DMZ 서포터스’도 운영하고 있다.
앞서 접경지역 발전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안행부 지역발전과 직원들은 지난 3일 코레일 직원들과 함께 경원선 DMZ트레인을 타고 강원 철원지역 일대를 돌아봤다. 경의선 DMZ트레인은 운행 한 달 만에 이용객이 1만명을 돌파했으며, 경원선 DMZ트레인도 주말에는 2~3주일 전에 예약해야 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김명선 안행부 지역발전과장은 “DMZ 열차 운행으로 접경지역의 접근성이 크게 높아져 지역 경제가 조금씩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코레일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 관광 홍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을 찾아 접경지역 발전정책에 반영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2014-09-1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