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물질 측정장비 국산화율 높인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2-16 00:09
입력 2014-12-16 00:00

그린패트롤 측정기술개발단 출범

해외 의존도가 높은 환경 오염물질 측정장비의 핵심부품 국산화가 본격화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내 환경측정기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16일 건국대에서 ‘그린패트롤 측정기술개발사업단’ 출범식을 갖는다고 15일 밝혔다.

환경측정장비는 국가 환경측정망 구축의 필수장비이지만 첨단 핵심부품의 해외 의존도가 높다. 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첨단 환경정보시스템인 굴뚝자동감시체계의 온라인 자동측정기는 90%가 수입제품이다.

그린패트롤사업단은 환경계측장비 핵심부품의 국산화 및 수출 제품 개발에 나선다. 수질과 대기의 오염 측정과 유해화학물질 측정분야 센서, 계측기기, 측정장비 기술 개발을 위해 2020년까지 모두 66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이를 통해 현재 20% 수준에 불과한 국산화율을 9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온라인 총유기탄소(TOC) 측정분석장치, 복합유해물질 굴뚝자동측정기, 초미세먼지(PM2.5) 측정분석장치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12-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