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10곳 중 1곳 발암물질 ‘라돈’ 기준치 초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5-03-19 04:22
입력 2015-03-18 23:52

지속적 노출 땐 신장독성·폐암 유발

전국의 주택 10곳 중 1곳 이상에서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13년 12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전국 주택 6648가구를 대상으로 겨울철 주택 라돈 농도를 조사한 결과 16.3%인 1082곳이 다중이용시설 권고기준(148㏃(베크렐)/㎥)을 초과했다고 18일 밝혔다. 20년 이상 된 일부 주택(2.5%)에서는 400㏃을 초과한 곳도 있었다.

우리나라는 주택에 대한 권고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다. 조사 주택 전체 평균 농도는 102㏃이다.

라돈은 천연 방사성물질로 암석, 토양, 건축 자재 등에 들어 있는 라듐이 핵분열할 때 나오는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로 밀폐된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신장 독성이나 폐암 등을 유발한다.

2011∼2012년 조사에서는 주택 7885곳 중 22.2%(1752곳)가 권고기준을 넘어섰고, 전체 평균 농도는 124.9㏃이었다.

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134㏃로 가장 높았고 연립·다세대(79㏃), 아파트(5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권고기준 초과 비율도 단독주택(26.7%), 연립·다세대(8.5%), 아파트(1.8%)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화강암 지질대가 분포한 전북과 강원이 138㏃, 충북이 133㏃로 비교적 높았다. 환경부는 라돈이 높게 측정된 주택에 대해 올 연말까지 실내 라돈 저감을 위한 상담과 알람기 설치를 지원키로 했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라돈이 토양에서 주로 방출되기에 단독주택과 지하 및 1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된다”면서 “환기를 충분히 하면 라돈 농도를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라돈지도 등 관련 정보는 생활환경정보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5-03-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