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자녀는 기쁨 주지만 경제적으론 부담 느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15-07-09 03:11
입력 2015-07-08 23:34

‘자녀 가치 국제비교’ 보고서

한국인은 자녀를 기쁨을 주면서도 경제적 부담을 지우는 존재로 인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런 이유로 한국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는 2.72명이지만 2011년 기준 실제 출산율은 절반 수준인 1.24명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8일 공개한 ‘자녀 가치 국제 비교’ 보고서에서 한국인이 생각하는 ‘자녀 가치’를 주요 8개국과 비교한 결과를 발표하고 출산율을 높이려면 국가가 자녀 양육 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녀에 대한 각 나라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연구팀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스웨덴, 중국, 영국, 일본, 독일, 대만, 프랑스 등 9개국 1만 8063명을 대상으로 2012년에 시행된 ‘국제사회조사프로그램’을 분석했다. 자녀 가치를 묻는 6가지 항목에 각 5점을 배점하고 공감도에 따라 점수를 매기게 한 결과 한국인은 ‘자녀는 부모의 기쁨이다’라는 항목에 꽤 높은 점수인 4.26점(9개국 평균 4.34)을 줬다. ‘자녀로 인해 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한다’는 항목에도 스웨덴(3.29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3.17점을 줬다.

그러나 ‘자녀는 부모의 자유를 제한한다’는 부정적인 항목에는 비교 대상 9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3.30점(평균 2.84)을, ‘자녀는 부모에게 경제적 부담이다’라는 항목에는 프랑스(3.84점), 대만(3.38점)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점수인 3.26점을 매겼다. ‘자녀는 부모의 경제활동 기회를 제한한다’는 항목은 3.25점으로 독일(3.29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연구를 진행한 김미숙 보사연 연구위원은 “한국은 긍정적 자녀 가치도 높고, 부정적 자녀 가치도 높은 양면적 특성을 보였다”며 “가족이 시간과 비용 부담을 덜고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지역사회 공동체가 함께 양육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7-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