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직접 나서서 문화 융성 및 문화창조융합벨트의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하려던 일정이 세 차례나 연기돼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문체부 “타 부처 협조… 세부 보완”
문화창조융합벨트는 융복합 문화 콘텐츠를 기획, 개발하고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2월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센터를 개설했다. 큰 틀의 사업 계획이 나와 있는 상태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4일 국무회의에 이어 지난 10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문화 융성 및 문화창조융합벨트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긴 시간을 들여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문화 융성은 창조경제의 마중물이자 결과물”이라면서 “생산, 유통, 소비, 생산으로 선순환되는 문화 콘텐츠 산업구조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문체부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의 강조가 있었던 만큼 기획재정부 등 타 부처에 정책 협조, 예산 협조 등을 구할 수 있도록 세부 프로그램을 보충하고 있다”면서 “문체부 내에서도 문화콘텐츠산업실이 주축이 돼 준비된 내용을 해외 문화원, 문화예술정책실 등으로 넓혀 함께 준비하려 한다”고 말했다. 다음 일정은 기약 없이 미뤄진 상태다. 문체부 관계자는 “다음주에는 을지연습이 있고 그 뒤에는 장관님 해외 출장 일정이 있어 당장 관련 브리핑 일정을 잡기가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콘텐츠진흥원과 ‘엇박자’
그러다 보니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의 하나로 장관 브리핑과 함께 발표할 예정이었던 ‘문화창조벤처단지’ 입주 공고 사업 계획을 11일 먼저 내놓았다. 문화창조벤처단지는 옛 한국관광공사 건물에 들어서며 문화 콘텐츠 분야 벤처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에 사무 공간과 제작 시설뿐 아니라 사업화, 해외 진출까지 지원하는 공간이다. 콘텐츠진흥원 입장에서는 야심 차게 준비한 프로젝트지만 문체부와 엇박자가 나며 모양새가 구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