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과거와 현재… 기록으로 보는 ‘70년의 변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수정 2015-12-02 18:08
입력 2015-12-02 18:02

행자부 국가기록원 300여점 전시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3일 대전기록관에서 공공기록물과 시민공모로 선정된 민간기록물 등 300여점을 통해 광복 이후 70년간 대전이 어떻게 변화·발전했는지 돌아보는 ‘기록으로 보는 대전’ 기획전시회를 연다.

이미지 확대
대전의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상징적인 기록물은 ‘대전 임시 천도에 관한 건의 이송의 건’이다. 남북 간에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당시 임시수도 부산에 있던 국회가 대전으로 임시 천도할 것을 정부에 건의한 문서다. 대전이 행정과 교통의 중심지라는 지리적 측면과 서울에서 가까워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대전과 전북 이리(현 익산시)를 잇는 철길을 건설한 뒤 열차에 시승하는 모습과 1969년 서울~대전 경부고속도로 개통 모습, 1970년 호남고속도로 기공식 모습 등은 대전이 교통중심지로서 얼마나 중요한 곳인지 보여준다.

또 1993년 정부3청사 기공식과 1992년 대덕연구단지 준공, 1993년 대전엑스포 개최 등을 통해 대전이 과학과 행정 중심지로 성장하는 모습을 느낄 수 있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정부대전청사 내 국가기록 상설전시관을 전면 개편해 새롭게 문을 연다.



우리나라의 성장과 발전과정을 다룬 문서·영상 등 350여점이 전시되며, 세계기록유산과 개인의 삶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민간기증 기록물을 만나볼 수 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5-12-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