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차·드론·스마트시티… 국토부 ‘굴뚝 이미지’ 벗는다
류찬희 기자
수정 2016-01-28 00:30
입력 2016-01-27 22:18
첨단산업 육성 부처로 변신
우선 2020년 자율주행차 상용화의 기본이 되는 오차범위 ±25㎝ 수준의 정밀 도로지도를 만들어 보급한다. 수도권 국도 133㎞에 먼저 설치하고 2020년까지 고속도로 및 4차로 이상 국도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실제 도로 상황과 비슷한 상황에서 자율주행차 실험, 인증적합 조사를 할 수 있는 실험도시(K-City)를 2019년까지 교통안전연구원에 만들기로 했다. 15가지 교통안전서비스 제공으로 완전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첨단정보통신시스템(C-ITS)을 대전~세종 87.8㎞에 구축하고 세계 최초로 개발한 오차 1m 이하 GPS 기술도 2018년 상용화한다.
드론 활성화를 위해 전선·전주 등 장애물 정보를 표현한 3차원 정밀지도를 시범구축한다. 물품수송·국토조사·시설물관리 등 드론활용 8대 유망분야에 대한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하고 각종 제도를 정비하기로 했다. 공간 빅데이터 45종의 융합DB를 구축, 종합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해상도 50㎝급 위성 2기 발사(2019∼2020)를 위해 위성영상 처리·활용기술 개발과 국토위성정보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기후변화에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바닷가 산업단지에 중대형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선도적으로 설치하고, 관련 연구를 지원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확보한다.
유비쿼터스도시법을 스마트도시법으로 확대 개편, 기존 도시에도 스마트도시를 확산시키고 시민체감형 생활서비스를 발굴하는 한편 중국 등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해외 진출 기반도 구축하기로 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1-2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