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 talk 공무원] 권태성 고용부 고용정책총괄과장

정현용 기자
수정 2016-03-10 00:15
입력 2016-03-09 18:14
“청년 취업난 대책 고민하다 일·학습 병행제 생각해냈죠”

취업 한파에 휩쓸리는 청년들을 도울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직업훈련 선진국이라는 스위스와 독일을 방문하고 국내에 도입할 수 있는 제도가 무엇인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다 보니 밤잠을 설치는 날도 허다했다. 권 과장은 “독일과 스위스에는 도제식 직업훈련 제도가 정말 잘 갖춰져 있었다”며 “국제적으로 산업경쟁력을 굉장히 높게 유지할 수 있었던 그 비결을 우리 현실에 맞게 도입하려고 머리를 싸맸다”고 운을 뗐다.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청년을 한자리에 모아놓고 교육하는 ‘집체교육’ 방식의 직업훈련이 대세로 통했다. 그러다 보니 학교를 졸업하고 1~2년 동안 다시 직업훈련을 받고, 취업한 뒤에 기업에서 또 교육을 받아야 해 비효율성이 커졌다. 그래서 기업이 청년을 채용한 뒤에 산업현장에서 실무교육을 하고 또 학교에서는 이론 교육을 병행하는 직업훈련 방식에 주목하게 됐다. 바로 ‘일·학습 병행제’다. 권 과장은 “그동안에는 어떤 직장에 갈지 모르기 때문에 교육이 엄청나게 포괄적으로 이뤄졌고, 자신의 전문분야로 취업하는 비율이 채 50%도 되지 않을 만큼 전공 불일치가 심각했다”며 “일·학습 병행제는 청년 입장에서는 조기에 노동시장에 진입해 사회적인 낭비요소가 줄어들고, 기업도 기술력을 갖춘 인재를 우선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어려움도 없지 않았다. 유럽의 선진국들은 100년 이상의 도제식 직업훈련 전통이 있었지만 국내 인프라는 걸음마 단계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4년부터 뒤늦게 시작했음에도 지난해 14개 대학, 올해는 24개 대학이 사업에 참여하는 등 전국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권 과장은 정책을 만들 때 자신의 과거를 많이 떠올린다고 했다. 그가 20대였을 때는 대졸자 취업률이 높았기 때문에 진로교육에 대한 정책적인 관심이 높지 않았다. 그도 군대를 제대하고 나서야 진로를 고민했고, 30세가 가까운 시점에 공직을 시작할 수 있었다. 그는 “고용부 공무원이지만 한편으로는 나도 국민의 한 사람”이라며 “공무원 한두 명이 무언가 사회를 바꿀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여러 가지로 어려움이 많겠지만 우리 국민들이 애정을 갖고 좋은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마음을 모아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3-1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