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대뿌리에 공생 미생물서 뇌세포 염증 억제물질 발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6-08-25 18:04
입력 2016-08-25 18:02
국립생물자원관은 25일 순천만 갈대뿌리에 공생하는 미생물에서 뇌신경 세포 염증 발생을 제어하는 단일 물질을 찾아내 특허 출원했다고 밝혔다. 단일 물질은 갈대뿌리에 공생하는 식물 내생균인 고이마노마이세스속 균주로부터 분리했는데 뇌세포 염증억제 물질로 알려진 에르고스테롤 퍼옥사이드에 비해 항염증 효과가 1.2배 높았다.

특히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 독성 성질을 나타내지 않아 향후 뇌세포 염증억제 치료제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단일 물질을 생성하는 유전자를 파악해 대량 생산을 위한 기반 연구와 함께 뇌신경 세포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에 착수했다.



이번 연구는 전통 의약에서 말린 갈대뿌리(노근)가 치매·건망증 등에 사용됐다는 사실에 착안해 이뤄졌다. 한국본초도감 등 한방 문헌에는 노근이 폐를 맑게 하고 위 기능을 돕는 천연 약물로 기록돼 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8-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