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차 자동 요금수납’ 스마트톨링 2020년 전면 도입
류찬희 기자
수정 2016-08-30 23:42
입력 2016-08-30 22:40
서울~세종 고속도로 등 착공…국도 교량 2018년까지 내진 보강
종합계획에 따르면 현재 4193㎞인 고속도로 총연장은 2020년까지 50131㎞로 확충된다.
서울∼세종, 평택∼부여∼익산 고속도로 등 주요 간선망을 착공하고 부산순환, 대구순환 등 대도시권 순환도로를 완공하거나 착공한다. 이렇게 되면 국토의 78%, 국민의 96%가 30분 이내에 고속도로를 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국가간선도로 건설과 관리에 모두 72조원이 투입된다.
2018년까지 국도 모든 교량에 대한 내진 보강을 완료하고 낡은 고속도로를 모두 개량하는 리모델링 사업을 펼친다. 기후변화와 재난 대응 차원에서는 상습 침수 지역의 교량관리 강화, 도로 비탈면 안전점검 대상 확대, 폭설 취약 구간에 대한 제설장비 배치 재조정 등이 추진된다.
도로 확장·신설, 갓길차로제 확대 등으로 혼잡구간을 지금보다 41% 줄인다. 요금소 설치나 통행권 발급이 필요 없는 스마트톨링 시스템을 시범운영 등을 거쳐 2020년 전면 시행한다. 고속도로 통행료 외에 주유소, 주차장 등 이용요금을 하이패스로 결제할 수 있는 ‘하이패스 페이(Pay)’도 도입된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6-08-3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