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 겸용 자전거도로 정비 10개 지자체에 20억 지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수정 2016-09-07 23:16
입력 2016-09-07 22:28
자전거 보급이 1200만대를 돌파했다. 그러나 통행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심부터 손대다 보니 늘어난 것은 보행자 겸용도로 위주였다. 대부분이 원래 인도였던 곳을 서둘러 개조했기 때문에 비좁은 데다 버스·택시 승강장, 가로수, 전봇대, 상품 진열대 등이 주행을 방해하고 보행자까지 뒤엉켜 사고 위험도 컸다.

이미지 확대
행정자치부는 겸용도로 개선을 위해 특별교부세 20억원을 지방자치단체에 지원한다고 7일 밝혔다. 공모에 참여한 37개 지자체 자전거도로의 사고 위험, 사업 효과, 자전거 통행량을 조사해 대구 북구와 인천 동구, 광주 동구, 대전 서구, 경기 안산시, 강원 속초시, 충남 아산시, 전북 전주시, 전남 광양시, 경남 양산시 등 10곳을 추렸다.

김성렬 행자부 차관은 “너비 2m 미만으로 확장하기 어렵고 보행자 통행에 불편을 주는 경우 보도로 전환을 추진한다”며 “20억원으로 부족하지만 자전거도로 정비 분위기를 조성하고 지자체와 함께 자전거 주행 환경을 개선하는 ‘마중물’ 성격 사업에 의의를 둔다”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09-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