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있어야 할곳은 병원 아닌 세상”
최훈진 기자
수정 2017-02-07 18:15
입력 2017-02-07 18:12
‘행자부 통일맞이 의료봉사’ 참여 이재훈 올림픽병원장
“의사가 있어야 할 곳은 병원이 아닌 세상이라고 생각합니다.”
2년 전 이씨는 의료서비스의 손길이 닿기 어려운 대성동 마을을 처음 찾았다. 이곳에는 현재 49가구, 207명이 거주하고 있다. DMZ 특성상 이곳 주민들은 바깥 출입이 자유롭지 못하다. 마을에서 20㎞ 떨어진 병원에 가려면 하루 2번 오가는 버스를 타거나 자가용을 타고 1시간 이상 군 검문을 거쳐야 한다. 의료 봉사팀도 유엔의 허가를 받아 연 1회만 방문한다. 이씨는 “2015년에는 마을 주민 90명, 지난해엔 70명을 진료했다”며 “대부분 주민이 농사일을 하기 때문에 척추·관절 등의 만성 통증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지난 1일 대성동 주민 남모(81·여)씨는 이씨에게서 척추협착증 수술을 받았다. 통증이 심각한 데도 비용 탓에 수술을 망설이던 남씨에게 이씨는 무료 수술을 제안했다.
이씨가 의료 봉사를 시작한 시기는 2006년이다. 당시 그가 일하던 마포구 병원 옆 건물에는 노인복지관이 자리잡고 있었다. “척추·관절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아오는 노인을 자주 진료하다가, 한 번은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TV, 인터넷 등 매체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잘못된 건강 정보에 둘러싸인 노인들을 보며, 진료도 진료지만 제대로 된 건강 강좌를 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이씨가 매달 둘째, 넷째 주 화요일 이 복지관을 찾은 지 벌써 12년째다. 같은 주 목요일에는 송파 노인요양원, 첫째, 셋째 주 화요일에는 또 다른 송파 노인복지관에서 의료 봉사를 하고 있다. 그는 “주말엔 복지관을 문을 닫기 때문에 주로 평일에 간다”며 “병원이 복지관이나 요양원 근처에 아무리 많아도 부자가 아닌 이상 대부분 노인은 척추·관절 통증으로 병원을 찾길 꺼린다”고 말했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수술 후 후유증을 걱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씨는 노인 질환은 운동을 통한 예방이 중요한 데도 사회 전반에 그런 인식이 부족해 아쉽다고 털어놨다. “나이가 들수록 지자체가 운영하는 각종 운동시설을 적극 이용하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하는데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엔 노인 의료 교육이나 질병 예방 시스템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7-02-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