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위험 높은 지역은 ‘도심 산림’
수정 2017-02-16 00:00
입력 2017-02-15 18:07
산림과학원 ‘산불 지도’ 제작
15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첨단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1991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한 1만 560건의 산불 위치정보를 활용해 제작한 ‘전국 산불다발위험지도’를 분석한 결과 산불 위험이 높은 5개 지역은 인천 남동·계양구, 부산 남구, 서울 노원구, 울산 동구로 나타났다. 이 기간 153건의 산불이 발생한 강릉은 인천 남동구(61건)보다 발생건수는 많지만 산림 면적이 넓어 산림 발생 빈도는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산불지도에 따르면 남한지역의 10.0%가 산불다발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산불다발위험지역은 4단계로 나뉘는데 1㎢ 내 산불 발생건수가 0.25건 미만이면 ‘징후 없음’, 0.25~0.50건 미만은 ‘주의’, 0.50~0.75건 미만은 ‘경계’, 0.75건 이상은 ‘심각’으로 분류된다. 7.7%가 ‘주의’ 단계에 해당됐고 ‘경계’ 1.2%, ‘심각’ 1.1%로 나타났다.
과학원은 산불지도를 활용해 산불조심기간에 산불감시원과 진화인력, 산림헬기 등을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산불 예방과 신속한 진화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2-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