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기부제가 뭐죠”…67.4%가 “모른다”

윤창수 기자
수정 2017-08-14 18:11
입력 2017-08-14 18:08
文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찬성 78.3%로 높지만 인식 미미
●“6만~10만원 기부” 33.8%로 최고
고향기부제는 재정이 열악한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기부자에게는 세액공제 등의 혜택을 주는 제도다. 정책을 맡은 부처는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로 기부금 모집과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다.
여론조사는 18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거주지역별 표본 1000명에게 전화면접과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고향기부제 도입에 대해서는 ‘적극 찬성’이 19%, ‘찬성’이 59.3%로 나타났다.
●55%가 “태어나고 자란 곳에 기부”
고향에 얼마를 기부하겠느냐는 질문에는 6만~10만원이 33.8%로 가장 많았으며, 11만~50만원은 17.2%, 51만원 이상이 11%로 조사됐다. 어느 지역에 기부하겠느냐는 질문에는 태어나고 자란 곳에 기부하겠다는 의견이 55%였으며, 현 거주지에 기부하겠다는 의견도 26.6%였다. 조사 응답자의 고향으로는 경기가 24.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이 17.7%, 인천 6.2%였으며 부산·전북·경북이 5.9%였다.
기부문화의 정착과 동기부여 등을 위해 기부자에게 고향 특산품을 답례품으로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전체의 65.8%가 찬성한다고 했다. 양성빈 전북도의원은 “지방 중소도시 대다수가 자체 수입으로는 공무원 인건비조차 충당하지 못할 정도로 재정여건이 열악한데 고향기부제는 지역을 살리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고향의 농산물을 기부 답례품으로 제공하면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08-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