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일대 목재 등 자원 일제 수탈 흔적 조사 착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7-08-14 18:14
입력 2017-08-14 18:08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광복 72주년을 맞아 일제강점기 오대산 일대에서 자행된 자연자원의 수탈 흔적에 대한 지표조사에 착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오대산에는 일제강점기 목재 수탈과 노동력 착취 등의 이유로 화전민 마을이 조성됐는데 150가구, 300여명이 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197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당시 일부가 남아 있었고 현재 월정사와 상원사 구간에서 화전민 가옥터 50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오대산국립공원의 일부 지명에서도 일제의 지역 주민들에 대한 노동력 수탈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강원 평창 오대천 상류의 ‘보메기’는 계곡의 보를 막아 나무를 쌓아 놓은 뒤 비를 이용해 한꺼번에 무너뜨려 이동시켰다는 데서 비롯돼 현재도 지명으로 쓰이고 있다. 남쪽으로 0.8㎞ 떨어진 ‘회사거리’는 오대산에서 옮겨 온 목재를 가공했던 조선총독부 산하 목재회사가 있던 자리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오대산국립공원 사무소는 조사 내용을 토대로 현황도를 작성해 화전민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세우고, 추후 발굴·복원사업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8-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