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와 서울신문이 매년 공동으로 선정하는 ‘지방행정의 달인’에서 ‘관광 기반 조성의 달인’으로 뽑힌 공무원은 충북 영동군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송홍주(51·여) 농촌지도사다. 행안부 장관상을 받은 송 지도사는 7만 7950㎡에 이르는 ‘과일나라 테마공원’을 조성했다. 그는 테마공원뿐만 아니라 전국 포도 생산량의 12%를 책임지는 영동군에 와인연구소를 설치해 영동군의 독자적인 6차 산업(1차 농수산업, 2차 제조업, 3차 서비스업의 복합)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자 주무팀장이 얼마나 잘하겠느냐’는 말이 무색하게 송 지도사는 국·도비를 500% 증액시켰다.
이미지 확대
송홍주 지도사
이미지 확대
서은숙 주무관
충남 농산물유통과에 근무하는 서은숙(44·여) 주무관의 별명은 ‘오감엄마’다. 충남 농산물을 연합 유통하는 자체 브랜드 ‘충남오감’을 개발해 지난해에만 34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농산물 유통의 달인’에 올라 행안부 장관상을 받은 그는 충남 소재 2112개 농가와 지역농협이 직접 대형유통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할 수 있게 했고, 그 결과 물류비를 4분의1가량(25.4%) 절감시켰다.
이미지 확대
최성제 주무관
전남 해양수산과학원 최성제(46) 주무관은 국내 김 양식업계에 획기적 변화를 이끌어 낸 공으로 ‘신품종 김종자 개발의 달인’에 선정돼 행안부 장관상을 받았다. 27년간 오직 김만 연구해 온 그는 급변하는 기후에 적합한 신품종 김인 ‘해풍 1호’를 개발했다. 단 1g의 종자로 약 2299만원의 농가소득을 창출하는 ‘최 주무관표 슈퍼김’은 지난 6년간 3200억원의 생산소득을 기록했다.
이미지 확대
조봉래 지도사
경북 예천군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는 조봉래(53) 농촌지도사는 ‘곤충 산업화 기술 개발의 달인’으로 행안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정부 장려 품종인 ‘장원벌’을 개발, 꿀 생산량을 기존보다 6000t이나 확대시킨 데 이어 울릉도에 1만 6000㎡에 이르는 전국 최대 규모의 여왕벌 생산기지를 조성했다. 그는 지자체 차원에선 처음으로 꿀벌 육종연구를 실행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식량으로 대두되는 식용곤충 연구를 위해 충북 최초의 ‘식용곤충 농장학교’를 신설했다.
이미지 확대
김경희 주무관
‘실시간 버스 환승 시스템의 달인’에 오른 경기 부천시 교통사업과 김경희(43·여) 주무관은 전국 최초로 ‘실시간 동적 버스정차면 배정 시스템’을 구축한 주인공이다. 특허까지 획득한 버스정보안내기는 시민들의 대중교통 대기시간을 감소시켜 2015년 기준 25억 8000만원의 편익을 창출했다. 행안부 인증패를 받은 김 주무관은 “변화의 답은 인내를 발판으로 하는 치열한 고민과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7-12-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