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KIC, 국부펀드 투자 관리 주먹구구”

류지영 기자
수정 2018-05-29 23:58
입력 2018-05-29 22:52
공공자금 해외투자 실태 감사
최하 등급사에 “4800억 더 맡겨”
우리나라 국부펀드(정부 외환보유고 등 자산을 전 세계에 투자하는 펀드)를 운용하는 한국투자공사(KIC)가 헤지펀드(파생상품·주식·채권·외환 등에 공격적으로 투자해 높은 운용 이익을 노리는 투자기금) 위탁운용사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특정 업체의 평가 점수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일부 위탁운용사의 실적이 저조함에도 이를 숨기고 위탁 한도를 크게 높여 준 것도 적발됐다.
감사원은 이런 내용의 ‘공공자금 해외투자실태’ 감사 결과를 29일 공개했다.
KIC 위탁운용팀은 2015년 6월 헤지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안건을 투자실무위원회에 상정하면서 A사의 평가 점수를 임의로 올렸다. 원래는 A사가 탈락 회사보다 1.25점 앞섰지만 조정을 통해 6.25점 앞서는 것처럼 고쳤다. 선정 대상과 탈락 대상의 평가 점수 차이가 크지 않으면 투자실무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이에 대한 질문이 나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A사는 임의로 상향 조정된 점수 덕분에 헤지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됐다. KIC는 2015년 9월 이 회사에 1억 5000만 달러(약 1600억원)를 투자했지만 A사는 이듬해 6월 실적이 나빠지자 이 펀드를 청산했다.
같은 달 위탁운용팀은 또 다른 헤지펀드 위탁운용사로 B사를 선정하면서 투자액을 1억 5000만 달러로 결정했다. 하지만 당시 안홍철 사장이 “투자액 늘리는 것을 고려하라”는 취지로 발언하자 별다른 검토 없이 B사 투자액을 2억 달러(약 2130억원)로 높였다.
결국 KIC는 안 사장이 트위터 막말과 정권 편향 논란 등으로 사퇴한 뒤인 이듬해 4월에야 B사에 대한 투자액을 전액 회수했다.
아울러 KIC는 위탁운용사 3곳이 반기별 모니터에서 최하 등급을 받아 주요 관찰 대상으로 지정됐음에도 이를 투자위원회에 알리지 않고 위탁 한도를 4억 5000만 달러(약 4800억원)로 증액하는 투자 검토 보고서도 상정했다.
감사원은 “선정 대상과 탈락 대상 간 점수 차이를 임의로 벌리지 않았다면 최종 선정 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다”며 “앞으로 위탁운용사 선정 때 합리적 근거 없이 평가 점수를 부여하거나 위탁금액을 결정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고 경고했다.
이어 “투자 검토 보고서에 주요 관찰 대상으로 선정된 위탁운용사에 대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라”고 주문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8-05-3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