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수소차, 특허는 외국인이 주도

박승기 기자
수정 2018-07-25 13:17
입력 2018-07-25 13:17
국내 특허 56% 차지, 내국인은 44%
25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9~2017년까지 출원된 수소 충전장치에 관한 국내 특허출원 건수는 72건이다. 2009~2011년 10건에서 2012~2014년 19건, 2015∼2017년 43건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소차는 충전된 수소가 대기 중 산소와 반응해 만들어진 에너지에 의해 구동돼 배출가스가 없다. 다만 장거리 주행을 위해 일정 양의 수소를 저장해야 하기에 고압으로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중요하다.
출원인은 외국인이 56%(40건), 내국인이 44%(32건)를 차지했다. 외국인 비율은 2009∼2011년 20%에 불과했으나 2012∼2014년 57.9%, 2015∼2017년 60.5%까지 치솟았다.
2012년 이후 국내에서 수소차를 생산하면서 수소 충전 시장에 대한 외국 기업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충전장치 관련 기술은 설비 간소화와 효율화를 통한 비용절감 기술이 64%(46건)로 가장 많았고 안전에 관한 기술과 부품 내구성에 관한 기술이 각각 15%(11건)와 8%(6건)로 뒤를 이었다.
수소 충전장치 보급의 걸림돌이 됐던 높은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줄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압의 수소를 충전해 충전시간을 단축하고 1회 충전으로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어 전기차의 단점인 충전시간과 주행거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재원 정밀부품심사과장은 “친환경 자동차인 수소차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충전 장치 등 기술개발과 함께 충전 인프라 확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