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과일 수입 최대, 망고·아보카도 급증

박승기 기자
수정 2018-09-03 13:13
입력 2018-09-03 11:27
건강 관심에 수입 크게 늘어

3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과일 수입액은 12억 4000만달러, 수입양은 83만 4000t으로 10년 전인 2008년과 비교해 수입액은 136.1%, 중량은 58.3% 각각 증가했다. 더욱이 올해 1~7월까지 수입액도 전년동기대비 7.6% 늘어난 10억 달러를 기록하며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품목(금액 기준)은 바나나가 29.4%로 가장 많았고 오렌지(17.8%), 포도·체리(각각 12.9%) 등이 뒤를 이었다.
바나나 수입액은 3억 7000만 달러로 지난 10년간 137.1% 증가했다. 수입량도 전체 과일 수입의 52.8%인 44만t을 차지하고 있다.
바나나는 2006년 이후 과일 수입 품목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수입국이 다변화되는 추세다. 바나나는 2015년까지 필리핀산이 90% 이상을 차지했지만 지난해는 78.8%로 낮아졌다. 2015년 1.4%에 불과했던 에콰도르산이 2017년 9.7%까지 상승했다.
수입 과일 중에서 망고와 아보카도 수입 증가가 눈에 띈다.
지난해 망고 수입액은 5000만 달러, 수입양은 1만 3000t으로 2008년대비 각각 701.2%, 755.4% 증가했다. 주스와 디저트 등 식음료업계의 망고 사용 확대와 망고 효능이 알려지면서 수입이 크게 늘었다.
아보카도는 10년 전과 비교해 수입액은 1458.3% 증가한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양도 1115.5% 늘어난 6000t에 달했다. 더욱이 올해 1~7월 수입액이 3300만 달러로 지난해 수입실적을 이미 초과했다. 전 세계적으로 웰빙 푸드로 주목을 받고 있는데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식문화 정보가 공유되면서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지난해 국가별 과일 수입액은 미국이 4억 8000만 달러로 전체 38.3%를 차지했고 필리핀(28.6%), 칠레(11.6%), 뉴질랜드(5.1%), 태국(3.0%) 등의 순이다. 수입 단가는 1㎏당 1.49달러로 2008년보다 49.2% 상승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