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공포에 ‘마스크’ 개발 활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3-12 13:43
입력 2019-03-12 13:43

2014부터 초미세먼지 마스크도 등장

해마다 심해지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으로 대기질에 대한 공포가 높아진 가운데 일상에서 대비할 수 있는 마스크 관련 기술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9년부터 최근 10년간 출원된 마스크 관련 특허는 971건에 달한다. 2014~1218년까지 최근 5년간 미세먼지 마스크 출원은 연평균 134건으로, 그 이전 5년간(2009∼2013년) 연평균 출원(60건)대비 2배 이상 늘었다. 특히 2009년(98건)부터 2013년(37건)까지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미세먼지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2014년(91건)을 기점으로 증가해 연간 100건 이상 출원되고 있다.

마스크 관련 특허 출원은 개인과 기업이 각각 62.9%와 33.5%를 차지한다. 개인 출원 비중은 지난해 73.7%까지 상승했는데 기술난이도가 높지 않은 데다 마스크 착용 횟수가 늘면서 아이디어 출원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마스크는 먼지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데 미세먼지가 57%(553건)로 비중이 가장 높고 먼지 37%(360건), 초미세먼지 6%(58건) 등의 순이다. 2013년까지 전무했던 초미세먼지 마스크 관련 특허출원은 2014년 7건을 시작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1.6건이 출원됐다. 다만 기공 크기가 작아질수록 통기성이 나빠지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필터의 면적을 늘리는 등 먼지의 크기와 상관없는 기존 기술의 개선일뿐 초미세먼지에 특화된 새로운 기술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숙주 고분자섬유심사과장은 “강화된 대기 환경기준에 따라 마스크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며 “공포의 대상으로 대두된 초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