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시나무 온실가스 저감 효과, 가로수 등 활용 기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3-27 11:06
입력 2019-03-27 11:06

도심 가로수, 공장 주변 숲 식재 효과

상록활엽수인 종가시나무의 온실가스 흡수량이 뛰어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이산화탄소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된 종가시나무 군락지.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이산화탄소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된 종가시나무 군락지.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27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에 따르면 남부권역 종가시나무(17년생)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1㏊(1400그루)당 연간 18.13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승용차 8대가 1년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다.

종가시나무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경관 및 용재 가치가 높아 남부지역에서 많이 심는 수종이다. 그동안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상수리나무(16.5t)와 소나무(9.7t)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전남·제주 등지의 종가시나무 생육지는 1711㏊로 추산된다.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수종으로 종가시나무가 주목되는 것은 기후변화로 식생대가 북상해 분포 범위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후변화 등을 고려할 때 종가시나무를 도심 가로수나 공장 주변 숲에 식재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과학원은 종가시나무의 환경적 기능뿐 아니라 신기능성 물질 연구에 나서 산업화할 계획이다.

손영모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장은 “종가시나무와 같이 온실가스 저감 능력이 우수한 수종의 조림 및 사후 관리에 대한 연구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