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미세먼지, 측정기술 개발 활발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4-21 11:46
입력 2019-04-21 11:46
관련 특허 출원 10년사이 13배 증가
미세먼지 측정기술 관련 특허 출원이 증가한 것은 2013년 10월 세계보건기구(WHO)가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것이 계기가 됐다. 2014년 1월 중국 베이징의 미세먼지 농도가 993㎍/㎥를 기록했고 국내에서도 고농도 발생이 늘면서 날씨처럼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일상화됐다.
가술별로는 2013년까지 연평균 4건에 불과했던 ‘소형화’ 관련 기술이 2014년 이후 연평균 20건 이상으로 증가했다.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기 시장이 커지고, 다양한 제품에 응용하기 위한 모듈화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최근 5년간 측정방식은 광산란 방식이 50% 이상을 차지했다. 산란광을 검출해 입자의 직경 및 개수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필터 포집에 의한 중량농도 및 베타선 흡수 방식보다 정확도는 떨어지나 별도 질량 측정이나 필터 교체가 필요없어 실시간 측정가능하고 소형화에 유리하다.
타 기술 또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한 미세먼지 측정·응용기술이 대세다. 지난해 129건 중 79건을 차지한다. 최근 사용이 늘고 있는 공기 청정기와 에어컨을 비롯해 창문 및 공조 설비 제어 등에 미세먼지 측정기술이 도입되고, 옷보관 장치(공기분사)와 생물학적 실험 장치, 스마트 가로등(정보 및 광량 제어) 등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김주대 계측분석심사팀장은 “정부의 미세먼지 정책과 시장 확대로 미세먼지 측정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은 증가가 예상된다”면서 “측정의 정확도 향상과 소형화에 이어 의료·바이오·가전 등에 특화된 측정 기술 개발이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