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사망사고 50% 건설업서 발생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수정 2019-05-02 23:58
입력 2019-05-02 18:06

작년 산재사망 971명 중 485명 차지

산재 노동자는 전년보다 13.9% 급증
제도 개선으로 산재 승인 쉬워진 때문
이미지 확대
지난해 산업재해 사고로 목숨을 잃은 노동자가 971명으로 집계돼 전년보다 소폭 늘었다. 이 가운데 건설업 종사자가 485명으로 산재 사고 사망자의 절반을 차지했다.

2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8 산업재해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산재로 사망한 노동자는 전년(964명)보다 7명 늘었다. 사고 유형으로 보면 추락이 376명(39%)으로 가장 많았고 끼임(113명·12%)과 부딪힘(91명·9%)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485명(50%)으로 산재 사망사고가 가장 많았고 제조업(217명·22%), 서비스업(154명·16%) 순이었다.

고용부는 산재 사망사고의 절반을 차지하는 건설업에서 사고를 줄일 수 있게 역량을 집중한다. 추락 사고 예방에 초점을 맞춰 감독을 진행할 계획이다. 매월 14일로 지정한 ‘추락 재해 예방의 날’을 ‘추락 집중 단속 주간’으로 확대하고 불시 감독을 통해 추락 예방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다가 적발된 사업주는 사법 조치하기로 했다.

지난해 산재 사고 사망자와 산재 질병 사망자(1171명)를 합하면 2142명으로 전년(1957명)보다 9.4% 늘었다. 산재를 당한 전체 노동자는 10만 2305명으로 이것 역시 전년(8만 9848명)보다 13.9% 증가했다. 산재 노동자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은 최근 제도 개선으로 산재 승인이 상대적으로 쉬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고용부는 산재 신청 과정에서 사업주 확인을 받도록 한 절차를 폐지했다. 임서정 고용부 차관은 “내년부터 원청 책임을 강화하는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이 시행되면 사망사고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9-05-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