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통행용 목조교량 도입 현실화될까?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5-09 11:13
입력 2019-05-09 11:13
양양 한아름교 설치 7년 내구성 등 이상무
2017년 사무실용 건물에 이어 지난달 23일 경북 영주에 국내 최고층 5층(19m) 주택이 개관하는 등 목재건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목조교량 도입이 가시화되고 있다.
모니터링 결과 시간 및 수분 노출에 따른 교량의 형상(갈라짐) 변형과 접합부 형상 변화가 3% 미만으로 경미했다. 특히 차량 운행에 따른 교량의 최대 처짐이 18.3㎜로 설계당시 허용처짐량(83.3㎜)의 22% 수준으로 나타났다. 난간 및 교량 상단의 부재에서 치마버섯과 갈색부후균 등 목재를 손상시키는 자실체가 관찰에서 확인됐으나 강도에는 문제가 없었다. 표면 손상 부재에는 친환경 수용성 목재 방부제와 붕소막대 등으로 보존처리, 수분에 직접 노출되고 물 고임이 발생한 윈드브레이스(Wind Brace)는 교체 후 설계를 수정했다.
목조건축물연구과 김철기 박사는 “목재 시설물의 내구성 등에 관한 모니터링과 시설물 관리 방법 등을 수정해 향후 교량 설계 등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목재는 진동이 적고 철근·콘크리트와 비교해 염분에 강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