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자살 줄었어도 OECD ‘최고’

이현정 기자
수정 2019-06-12 03:03
입력 2019-06-12 00:56
복지부 ‘2019 자살예방백서’ 발표
2010년과 비교 땐 무려 34.2명 줄어
국민 전체 자살자수도 매년 감소세
자살예방 인력·시스템 보강 큰 도움

신은정 중앙자살예방센터 부센터장은 “2011년부터 맹독성 농약 생산과 판매가 중단된 뒤 특히 농촌지역 노인의 충동적 자살이 일정 부분 예방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2011년 맹독성 농약 판매 중단 이후 농약 사망자 비율은 2012년 14.9%, 2013년 10.0%, 2014년 7.7%, 2015년 7.1%, 2016년 7.8%, 2017년 6.7%로 줄었다. 같은 기간 노인 자살률도 2011년 인구 10만명당 79.7명에서 2017년 47.7명으로 줄었다. 노인 자살률이 꺾인 시점과 맹독성 농약 판매 중단 시점이 일치한다.
전체 자살자수도 줄었다. 2017년 우리나라에서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1만 2463명으로 자살자가 가장 많았던 2011년에 비해 3443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4억원에 불과했던 보건복지부의 자살예방사업 예산은 2017년 99억원, 지난해 168억원, 올해 218억원으로 늘었다. 전담 인력과 시스템을 보강해 자살을 예방하는 데 국력을 쏟기 시작한 것도 자살자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여전히 높다. 청소년(10~24세) 자살률(7.6명)은 OECD 회원국(평균 6.1명) 중 11번째로 높았고 노인(65세 이상) 자살률(58.6명)은 OECD(평균 18.8명)에서 가장 높았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6-12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