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산골 오지에 ‘드론 택배’ 떴다… 전국 배송기지 10곳 구축

류지영 기자
수정 2019-08-01 01:54
입력 2019-07-31 22:44
충남·전남 시범운영… 전주도 내년부터
당진서 시연… 선박 2시간→20분 단축
민간기업에도 개방 배송 시스템 활용
“주민 삶의 질 높이고 새 성장동력으로”

행정안전부 제공

행정안전부 제공
반경 10㎞ 이내 배달점 10∼20개를 묶어 하나의 거점을 만들고, 3~5개의 거점마다 드론 배송기지를 세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택배 차량이 접근하기 힘든 격오지로 구호물품이나 공공서비스 관련 우편물을 나르는 데 사용한다.
행안부는 드론이 정확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도로명주소 체계를 제공한다. 우정사업본부는 드론 배송 업무를 맡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드론 운영 기술을, 한국국토정보공사는 드론기지 운영 인력을 지원한다.

드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표적인 성장산업으로 자리잡았다. 선진국들은 드론 제도를 정비하고 기반시설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피자 배달 등에 드론이 쓰이고 있다. 한국은 각종 규제에 발이 묶여 후발주자로 남아 있다. 이 때문에 “공공부문이 나서서 국산 드론 시장을 이끌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실제로 드론을 이용해 섬 지역에 물품을 배달하는 행사가 열렸다. 충남 당진 전략문화홍보관 임시 드론기지를 출발한 드론이 직선거리로 4㎞가량 떨어진 대난지도(난지1길 359)와 소난지도(난지2길 90-17)의 배달점까지 날아가 마을 이장들에게 구급물품을 전달한 뒤 복귀하는 경로다. 시연에는 산업통상부의 드론이 사용됐다. 최대 시속 60㎞로 10㎏의 짐을 싣고 약 10㎞를 이동할 수 있다. 배를 이용하면 선착장에서 배달지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포함해 최소 2시간이 소요되지만, 이날 시연에서는 드론을 이용해 20분 만에 배송을 끝냈다.
윤종인 행안부 차관은 “물류 인프라가 취약한 섬 지역 등 오지에 드론배송 인프라를 구축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이를 기반 삼아 드론 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8-0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