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유·도선 선착장 41곳 안전불감 ‘만연’

류지영 기자
수정 2019-08-16 02:30
입력 2019-08-15 20:50
현장관찰단, 125건 개선사항 시정…구명장비 관리 소홀·위험물 보관 등
관찰단이 찾아낸 주요 개선사항은 구명조끼 등 구명장비 관리 소홀, 잠금장치 없이 페인트·시너 등 위험물 보관, 갑판 등 선내 금연구역에서의 흡연행위, 승객 탑승 시 신분 미확인, 객실 내 의자 파손 등이다.
구명장비에 덮개를 씌우거나 청소도구와 한 곳에 비치해 위급한 상황에서 이용하기 어렵도록 한 ‘안전불감’ 행위를 적발했다. 승선신고서 작성 뒤 신분 확인을 하지 않거나 배에서 흡연한 사례도 확인했다. 개선사항 125건 가운데 52건은 관찰단 개별 활동으로, 73건은 행안부 주관 중앙합동점검에 관찰단이 동참해 발굴했다. 관찰단은 선박을 자주 이용하고 선박 안전에 관심이 많은 국민 2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선박 운항 성수기인 4∼11월 수도권·영남권·강원권·충청권·호남권 등 권역별로 활동한다.
안영규 행안부 안전관리정책관은 “8월 막바지 휴가철과 가을철 성수기에 유·도선 이용객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현장 점검을 강화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도선 관찰단은 2017년 처음 도입돼 매년 운영하고 있다. 1기는 99건, 2기는 114건의 위험요소를 발굴해 개선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8-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