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인근 노동자 평균 근무시간 ‘주 52시간제’ 1년 만에 39분 줄었다

오경진 기자
수정 2019-09-11 23:05
입력 2019-09-11 20:52
대기업·공기관 밀집… 퇴근시간 당겨져
연령별로는 40대 15.8분 감소폭 최대
여가·문화·자기계발 관련 소비 늘어나

11일 고용노동부가 KT와 비씨카드에 의뢰해 직장인이 많은 4개 지역(광화문·여의도·판교·가산디지털단지)에서 주 52시간제 시행 효과를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와 올해 같은 기간(3~5월) 직장인의 근로시간과 여가 활동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개 지역 평균 근로시간은 13.5분 감소했다.
기업 규모에 따른 차이가 컸다.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몰린 광화문에서 근로시간이 605분에서 565.8분으로 39.2분 감소했다. 올해 7월 주 52시간제를 도입한 금융 대기업이 많은 여의도는 626.3분에서 616.4분으로 9.9분 줄었다. 기술업종 대기업이 포진한 판교에선 550.3분에서 540.6분으로 9.7분 감소했다. 다만 주 52시간제를 시행하지 않는 중소기업이 많은 가산디지털단지는 586분에서 586.6분으로 오히려 근무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령별는 근로시간이 가장 긴 40대가 15.8분으로 감소 폭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30대(14.0분), 20대(11.8분), 50대(10.2분) 순이었다.
출퇴근 시간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광화문과 여의도에서는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출근시간은 늦어지고 퇴근시간은 당겨졌다. 광화문에서는 ‘9시 출근, 6시 퇴근’이 정착되는 모습을 보였다. 여의도에서는 금융업 특성상 오전 9시 이전 출근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오후 5시 퇴근 비율도 3.8% 포인트 증가했다. 판교와 가산디지털단지에서는 출퇴근 시간이 모두 당겨지는 추세다.
소비 형태 변화도 두드러졌다. 주 52시간제를 시행하면서 여가나 문화, 자기계발 관련 업종 이용액이 많이 증가했다. 반면 사무실 인근의 노래방 등 유흥업종 소비는 감소했다. 소비가 늘어난 업종 중에서는 헬스클럽과 수영장, 테니스 등 스포츠 레저 업종의 소비 증가세가 뚜렷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9-09-1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