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넘긴 암 생존자 100만명 넘어
박찬구 기자
수정 2019-12-25 02:03
입력 2019-12-24 22:56
5년 상대생존율 10년 전보다 1.3배 늘어…위암·간암·폐암·전립선암 생존율 향상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4%로 10년 전보다 1.3배 높아졌다. 상대생존율은 일반인과 비교해 암 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을 의미한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생존율이 높았다. 남녀별 5년 생존율은 여성이 77.5%, 남성이 63.5%로 나타났다.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2001~2005년과 비교했을 때 위암, 간암, 폐암, 전립선암의 생존율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암 발생률은 2011년 이후 7년째 줄었지만 유방암과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생존율이 높은 암종은 갑상선암(100.1%), 전립선암(94.1%), 유방암(93.2%)이었고, 낮은 암종은 간암(35.6%), 폐암(30.2%), 담낭 및 기타담도암(28.9%), 췌장암(12.2%)으로 나타났다.
6대암(위암·대장암·간암·유방암·자궁경부암·폐암)의 5년 순생존율은 미국, 영국, 일본보다 높게 나타났다. 순생존율이란 암이 유일한 사망 원인일 때 암 환자가 진단 후 5년 동안 생존할 누적 확률을 의미한다. 성별로는 남자의 경우 위암, 폐암, 전립선암, 여자는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암 발생률은 2011년 이후 매년 2.6% 정도씩 줄고 있지만,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은 1999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우리나라 남성(80세)은 5명 중 2명(39.6%), 여성(86세)은 3명 중 1명(33.8%)꼴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264.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1.1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2019-12-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