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칫거리 층간 소음 다툼 줄어들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1-22 05:56
입력 2021-01-21 17:32

소음·진동 크기, 건강영향 중심으로 개선
IoT·AI 기술 활용해 소음 실시간 측정도

이미지 확대
층간소음
층간소음
해마다 심각해지는 층간 소음과 공사장 소음·진동의 크기를 국민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한국형 감각지수’를 개발한다. 현행 ‘데시벨’(dB)로 표시하는 소음·진동 크기에 대한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기준을 개선한다. 환경부는 21일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소음·진동관리종합계획’(2021∼2025년)을 수립해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소음·진동 크기 중심의 관리체계를 건강영향 기반으로 바꾸고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 기술을 소음·진동 측정 및 관리에 활용하는 등 대책을 담고 있다.

층간 소음 및 공사장 소음 민원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집에 머무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층간 소음 민원이 전년(2만 6257건) 대비 72.3% 증가한 4만 5250건에 달했다. 공사장 소음 신고도 4.5% 늘어난 10만 7794건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소음·진동 노출로 인한 건강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소음·건강영향 조사 단계별 이행안을 마련하고 상관성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조사 및 건강 영향 평가지표를 개발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1년 소음이 허혈성심장질환과 고혈압, 성가심 및 수면장애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과학적 측정을 위해 IoT에 기반한 소음·진동 실시간 측정기기 및 AI를 활용해 소음·진동원의 종류를 발생원에서 판별하는 기술 및 실시간 소음지도도 개발하기로 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1-01-2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