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선에서 결혼식 평균 5.7일… 다문화가정 ‘초스피드 결혼’

최광숙 기자
수정 2021-04-01 16:01
입력 2021-04-01 15:56

여성가족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20년 결혼중개업 실태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제결혼중개업을 통해 맞선에서 결혼식까지 평균 기간은 5.7일로 직전인 2017년 조사 때보다 1.3일 증가했지만 여전히 ‘초스피드 결혼’이었다.
국제결혼중개업을 이용하는 한국인 배우자의 연령은 40대가 61.3%로 가장 많았다. 외국인 배우자는 20~30대 비율이 79.5%를 차지했다. 외국인 배우자의 출신국 비율은 베트남이 83.5%였고 이어 캄보디아 6.8%, 우즈베키스탄 2.7%, 중국 2.3% 순이다.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비율은 한국인 배우자는 43.8%, 외국인 배우자는 19.7%를 차지했다.
결혼한 배우자와 현재 함께 생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대부분(90.7%)이 결혼생활을 지속한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일부는 이혼(5.4%), 가출(2.9%), 별거(0.9%) 등 혼인 중단 상태에 있다고 답했다. 혼인 중단의 경우 기간은 1년 이내인 사례가 76.8%였다. 이유로는 한국인 배우자는 성격 차이(29.3%)와 이유 모름(24.8%)을 꼽았다. 외국인 배우자는 소통의 어려움(49.7%), 취업 목적(42.7%)이라고 답했다. 한국인 배우자는 결혼중개업체에 중개 수수료로 평균 1372만 원을 내는 반면 외국인 배우자는 출신국 중개인에게 평균 69만 원을 내고 있다고 응답했다.
한편 광고를 비교적 많이 하는 국내 결혼 중개업체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연령층은 남녀 모두 4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부가 처음으로 국내 결혼 중개업체 271곳과 이용자 463명을 조사한 결과 이용자의 연령은 45세 이상인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35.1%, 31.9%로 가장 많았다고 이날 밝혔다. 남성의 경우 35∼39세(23.8%)와 40∼33세(22.4%)였고 34세 이하는 18.6%로 가장 적었다. 여성은 34세 이하가 27%, 35∼39세(24.3%), 40∼44세(16.7%) 순이었다.
최광숙 선임기자 b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