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 보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5-26 02:17
입력 2021-05-25 17:44

2차 기간 중 초미세먼지 농도 24.3㎍/㎥
최근 3년 평균 농도 대비 16% 개선 수치
황사 12일·국외 배출 등 외부조건은 나빠

이미지 확대
대기질이 악화하는 시기에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계절관리제’가 연착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환경부에 따르면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2020년 12월 1일~2021년 3월 31일) 초미세먼지 전국 평균 농도는 24.3㎍/㎥로, ‘좋음’ 일수 35일·‘나쁨’ 일수 20일로 집계됐다. 최근 3년 평균 농도(29.1㎍/㎥) 대비 16% 개선된 수치다. 1차 계절관리제 기간(2019년 12월 1일~2020년 3월 31일)보다 기상 조건과 국외 영향 등이 불리했지만 개선 효과가 이어졌다.

1차와 비교해 국민들이 나쁨(36㎍/㎥) 이상 노출시간이 줄었고 좋음이 지속되는 시간은 늘었다. 시간 평균농도를 최근 3년과 비교한 결과 나쁨 이상은 794시간에서 530시간으로 감소한 반면 좋음은 605시간에서 950시간으로 증가했다. 환경부는 정책 추진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1.3㎍/㎥ 저감되고 나쁨 일수는 4일 감소하고 좋음 일수는 10일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초미세먼지 관련 대기오염물질 배출량도 계절관리제 시행 전과 비교해 13%(12만 1960t) 감축됐다.

보령화력 1·2호기 폐지 등 석탄발전 가동 축소로 온실가스 약 800만t을 줄였고, 5등급차 운행 제한 등으로 노후 경유차가 2019년 말 210만대에서 올해 3월 160만대로 약 50만대 감소했다.

기상 및 국외 배출 영향 등 외부조건은 1차 때보다 좋지 않았다. 지난 3월에는 2016년 이후 황사가 처음 발생했고, 잦은 대기 정체와 낮은 풍속 등으로 오염물질이 쌓였다. 특히 황사는 하루에 불과했던 1차와 달리 총 12일이 관측되면서 3월 평균 농도(1.4㎍/㎥)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국외 배출 영향도 작용했다. 중국의 공장 가동률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는 등 경제활동이 늘면서 2~3월 국내 초미세먼지 농도가 상승했다.



또 수도권·충청권 등 중서부 지역과 외부조건에 따라 대기질이 악화되는 3월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해졌다. 송창근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부 교수는 “계절관리제 시행 경험으로 국내 배출원 관리에 성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면서 “탄소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정책으로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21-05-2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