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30% 돌파… 작년 청년 고용률 소폭 하락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수정 2021-06-29 06:41
입력 2021-06-28 20:56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0’ 새달 발간
공공사회지출 여전히 OECD 평균 미달

이미지 확대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2021.4.26 뉴스1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 2021.4.26 뉴스1
‘나 혼자 산다’는 집이 전체 가구에서 3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29세 청년 고용률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다가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다소 감소했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사회 지출은 해마다 급속히 늘어나고 있지만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면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었다.

보건복지부는 우리나라 사회보장 수준과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각종 행정 통계와 실태 조사 등을 정리한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2020’을 7월에 발간한다고 28일 밝혔다.

주요 내용을 보면 2019년 기준 국내 1인 가구 수는 약 614만 8000가구, 전체 가구의 30.2%를 차지했다. 1인 가구는 2025년에는 690만 가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15∼29세 청년 고용률은 2005년 45.0%에서 2010년 40.4%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계속 증가세를 보이며 2019년에는 43.5%까지 늘었다가 2020년에는 42.6%를 기록했다.

주요 선진국과 비교한 우리나라의 복지 수준도 확인할 수 있다. GDP 대비 공공사회 지출은 1990년 2.6%에서 2019년 12.2%까지 늘었지만 독일(25.9%), 스웨덴(25.5%) 등 주요 복지국가는 물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GDP 대비 20.0%)에 비교해도 61% 수준에 불과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1-06-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