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적 선택 시도로 매일 100명꼴 응급실 내원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수정 2021-11-04 09:09
입력 2021-10-11 20:54

작년 이어 올 상반기도 20대 가장 많아
젊은층 정서·경제적 피해 방지책 필요

이미지 확대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올 들어 자살·자해 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한 사례가 하루 평균 100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과 성별로 보면 20대 여성이 가장 자해·자살 위험이 높은 집단이어서 관련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동안 자해·자살 시도로 인한 응급실 내원은 1만 8213건이나 됐다. 일평균 100건 수준이다. 자해·자살 시도로 인한 응급실 내원은 2019년 3만 6336건에서 지난해 3만 4905건으로 3.9% 감소했지만 올해 상반기 추세라면 2019년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자해·자살 시도자 중 20대(28.7%)가 가장 많았고 40대(15.1%), 30대(15.1%), 10대(12.8%) 순이었다. 20대는 2016년 19.6%에서 지난해 28.7%로 늘었다. 특히 지난해 20대(1만 7건) 중 여성이 6866건으로 3분의2가량을 차지했다. 올해 1~6월도 20대는 30.6%로 가장 많았고 두 번째인 30대(14.5%)와 두 배나 차이가 났다. 그중 20대 여성은 3900건으로 20대 전체의 70.1%였다.

신 의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누적된 국민들의 정서적·사회경제적 피해가 자해와 자살이라는 비극적 형태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특히 청년층에게 더 큰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1-10-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