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에 육군장교가 왜?
수정 2010-01-09 00:00
입력 2010-01-09 00:00
軍환경 담당 녹색협력관 파견 눈길
그는 “우리 군은 토양오염, 폐기물, 수질, 자연환경, 대기환경 등 규제사항 대부분을 지방자치단체의 도움을 받아야 해결할 수 있다.”면서 “환경부 예하 지방청이 사업계획을 승인하고 예산할당을 해주기 때문에 협조 차원에서 자리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김 중령이 환경부에 파견된 것은 2008년 5월. 1년8개월 동안 환경부에서 근무하다 보니 이제 웬만한 환경정책들은 꿰뚫고 있다. 국방부는 그동안 군부대 환경의식 전환에 기여했다는 점을 인정, 국방녹색협력관 보직을 줬다는 소문이다.
군에 접목해 추진 중인 사업은 의외로 다양하다.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군의식 전환, 4대강 살리기와 관련된 환경영향 평가와 민·관·군 통합 수중정화활동 체계구축,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지원, 군부대 하수처리 선진화, 비무장지대 생태조사 등 쉼 없이 해야 할 일들이 많다.
환경부로서도 김 중령이 환경관리 업무에 정통하고 군 환경 현안 해결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 지난해 말 정책집행분야 ‘올해의 환경인 상’을 수여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4대강 지역 수중정화 활동에 13만명의 군인을 참여시키고, 비무장지대 생태조사와 국립공원 내에 미사용 군사시설 철거 협조를 얻어내는 등 김 중령이 이뤄낸 성과가 많다.”고 자랑했다.
그는 “파견근무를 하는 동안 환경정책이 군부대까지 잘 스며들도록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는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며 환하게 웃었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0-01-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