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진단] “사회공헌 컨설팅…대기업·中企후원 늘릴 것”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1-11 00:23
입력 2010-01-11 00:00

김용현 경영합리화 추진본부장

대한적십자사의 변신을 위해 영입된 김용현 경영합리화 추진본부장은 사무실에 있는 시간이 별로 없다. 그는 국회로, 정부부처로, 청와대로 바쁘게 움직인다. 김 본부장을 지난 8일 서울 남산동 사무실에서 만났다. 그는 대한적십자사의 변화와 개혁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김 본부장은 행정고시 23회 출신으로 옛 경제기획원(EPB), 기획예산처 등에서 잔뼈가 굵은 경제관료 출신이다. 김 본부장과의 일문일답을 간추린다.

이미지 확대
김용현 대한적십자사 경영합리화 추진본부장
김용현 대한적십자사 경영합리화 추진본부장
→대한적십자사가 변화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느꼈나.

-대한적십자사는 국제 인도주의 기관으로 ‘왼손이 한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라.’는 정신으로 주로 조용히 모금 및 봉사 활동을 해왔다. 그러다 보니 이재민 지원, 국내 취약계층 지원, 독거노인 지원, 조손(祖孫 )가정 지원, 혈액사업 등 주요 활동 내용을 많은 국민들이 알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로 인해 대한적십자사의 존재감이 낮아지고 국민들로부터 멀어지는 것 같다.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적십자 회비 납부에 참여하는 회원수가 갈수록 줄고 있다. 대책이 있나.

-특히 미래 세대인 젊은층의 취향에 맞는 대한적십자사 홍보 콘텐츠를 많이 개발할 생각이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등을 통해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적십자사의 사업 활동 등을 자세히 알릴 것이다. 또한 앞으로 1대1 개인 결연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본인이 적십자사를 통해 후원할 경우 국내 독거노인, 조손가정 등 어려운 계층 누구에게 전달되고 어떠한 도움으로 이어지는지 피드백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모금 기부 비율을 보면 소액 기부 위주의 개인 후원이 전체 후원의 70%, 기업 후원은 30% 정도인데.

-기업 모금 비중이 적은 편이다. 매년 연말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대기업들의 기부금을 많이 받는 게 한 요인이 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이 확산되면서 과거 대기업 위주의 후원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중소기업들도 사회기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우리 기업 중에는 사회기부 참여의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기업들의 후원을 늘릴 방안이 있나.

-대기업을 비롯해 중소기업들과 협력관계를 맺을 계획이다. 외국의 적십자사들은 특정 기업 제품의 수입금 일부분을 적십자 회비로 후원하는 시스템을 통해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경우가 많다. 대한적십자사가 사회공헌기업 컨설팅 등을 통해 이를 돕고자 한다. 이렇게 되면 서로 윈-윈(win-win)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0-01-1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