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종합실천계획 구상에서 확정까지
수정 2010-01-29 13:54
입력 2010-01-29 00:00
이명박 정부, 농업→경제 중심으로 변경
새 정부의 새만금 개발에 대한 밑그림이 발표된 것이다.
이는 간척사업으로 조성된 2만8천300ha의 광활한 새만금지구 토지의 활용이 농지 중심에서 ‘경제중심도시’로 전환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강 팀장은 “새만금을 농지만으로 조성해서는 결코 안된다”며 “경제적으로 국가가 부강할 수 있는 발판이 되도록 새로운 개발안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시작으로 새만금 사업은 이명박 정부출범과 함께 기존 개발구상안을 사실상 전면 백지화하고 ‘동북아의 두바이’라는 방향으로 설정됐다.
새만금 TF는 애초 농지(71.6%) 위주로 활용하려던 참여정부의 토지이용계획 기본구상을 바꿔 산업과 관광, 환경, 도시용지 등의 비율을 최대 70%까지 높이기로 했던 것이다.
새로운 땅이 드러난 부지부터 민자나 외자를 유치해 우선 개발하고 30만t급 배가 입·출항할 수 있는 새만금 신항만과 2천여ha의 거대한 배후 해양물류단지 조성도 이때 계획됐다.
새만금 개발 시기도 적정 수질 도달을 전제로 2030년에서 2020년으로 10년 앞당겨졌다.
이 같은 구상은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무총리실 산하의 새만금 위원회와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 설치로 이어졌다.
그동안 농식품부와 환경부, 국토해양부 등 부처별로 나뉘어 분산됐던 새만금 관련 업무가 사실상 통합되고 체계적인 관리가 시작된 셈이다.
각 정부 부처와 전북도, 전문가 등이 참여한 새만금추진기획단은 1년 간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논의를 거쳐 작년 7월 종합실천계획안을 발표한 뒤 공청회와 토론회 등을 통해 이날 실천계획안을 확정한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