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경비 줄여 일자리 3만개 창출
수정 2010-03-04 17:11
입력 2010-03-04 00:00
축제비용도 절감…모든 시군구에 일자리센터고용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과 임태희 노동부 장관은 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3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올해 최우선 국정과제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자체를 조기에 일자리 총력체제로 바꿀 방침이라며 이 같은 대책을 보고했다.
대책에 따르면 지자체들이 일자리 추경으로 3천600억원을 편성해 자전거 수리사업,도시숲 조성,생활형 자전거길 조성 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지역공동체 일자리 사업’을 추진한다.
7월부터 본격 시작되는 이 사업에는 청장년층을 우선으로 선발하고,6월말 종료되는 희망근로사업의 참가자들을 흡수해 지역고용시장의 충격을 완화할 예정이다.
또 노동부 고용지원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149개 시·군·구에는 연내에 일자리센터를 설치해 취업 희망자들에게 접근성을 높이는 등 취업상담 및 알선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읍·면·동 주민자치센터에는 기업 은퇴자와 직업 상담사 등을 배치해 취약계층에 취업 상담을 해주는 등 주민자치센터를 취업 지원의 최일선 창구로 활용하기로 했다.
국가 취업정보 전산망인 ‘워크넷’과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취업정보시스템을 연계하고,중앙정부의 159개 일자리 사업 정보가 담겨 있는 ‘일모아시스템’에 지자체 일자리 사업도 등록해 통합관리하기로 했다.
통계청이 주관하는 시·군·구 단위의 고용 통계조사를 연 1회에서 분기별로 확대하기로 했다.
적극적인 일자리 알선을 위해 지역별 취업박람회를 개최하고,지자체별로 ‘찾아가는 구인업체 전담발굴반’도 운영하기로 했다.
대구시가 추진해온 고용 우수기업 지방세 감면(50%) 제도를 6월까지 다른 지역으로 확대 시행하고,‘고용우수기업 인증제’를 도입해 자금 지원,물품 우선구매 등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2012년까지 3년간에 걸쳐 3천명의 청년 창업가를 육성하는 서울시의 사례도 대도시 중심으로 단계적 확산을 유도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지자체별 일자리 조성목표와 실적을 공개하는 ‘일자리 공시제’를 도입하고 올해 총 500억원의 인센티브 예산을 확보해 일자리를 잘 만드는 지자체에 지원하기로 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 이후 10년 이상 단순 취로사업 위주로 추진된 공공근로사업을 비용 효과 분석 등을 통해 생산적 사업으로 재설계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전국 246개 지자체장과 관계부처 장관,교수 등 전문가들이 참석했으며 서울시와 경기도,경북 구미시,전남 장흥군의 일자리 창출 사례가 발표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