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굣길 벗어나면… “통학로 이탈” 119에 긴급연락
수정 2010-03-24 00:24
입력 2010-03-24 00:00
신도림 u서울안전존 가보니
유양을 비롯한 신도림초교 학생 180명은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전자태그를 갖고 있다. 학교 주변 곳곳에는 50~100m 간격으로 ‘센서 노드(Sensor Node)’가 설치돼 있다. 이 장치는 전자칩에서 발생하는 위치정보를 초 단위로 수집해 서울시종합방재센터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센터는 수집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해당 아이의 부모에게는 주기적으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있다.
박씨는 “한번은 ‘비상 상황입니다.’는 문자가 왔는데, 아이가 시험삼아 호출 단추를 누른 것”이라면서 “아이가 통학로를 벗어나거나 호출 단추를 누르면 119로부터 긴급구조 연락이 오기 때문에 아이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특히 주요 통학로에는 11대의 CCV도 갖춰졌다. 아이들이 가방·신발 같은 소지품을 빼앗기거나 돈을 갈취당하는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던 곳이다. 구로구 관계자는 “CCTV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비상벨을 누르면 사이렌이 울려 아이가 위급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첨단 장비”라면서 “CCTV 설치 이후 사건·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제도 시행 초기인 만큼 이용률이 저조하다는 데 있다. 신도림초교에 따르면 전자칩을 꼭 지니고 다니는 학생 비율은 전체의 50%에 그치고 있다. 전자칩을 가끔 휴대하는 학생이 40%, 아예 놔두고 다니는 학생도 10%에 이른다.
전자칩은 휴대전화가 있는 학생에게는 휴대전화에 끼워넣는 USIM칩, 휴대전화가 없는 학생에게는 손목 등에 착용하는 전자태그 형태로 지급됐다. USIM칩과 달리 전자태그는 호출 외에 다른 기능이 없다. 자연스레 아이들의 관심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학부모들 역시 복잡한 확인절차 등을 문제로 꼽는다.
한 학생의 어머니는 “아이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려면 인터넷 사이트에 로그인해야 하는 등 사전절차가 복잡한 데다, 컴퓨터 앞에 지키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 “휴대전화 등을 통한 확인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학부모들이 주기적인 문자 발송을 오히려 번거롭게 여겨 등하교 위주의 문자만 보내는 실정”이라면서 “아이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안전 교육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오는 8월부터 5개 초등학교에 추가로 u서울 안전존 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글 사진 강동삼기자 kangtong@seoul.co.kr
2010-03-24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