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파워엘리트] (19) 보건복지부(상)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6-03 02:48
입력 2010-06-03 00:00

건보·복지정책관실 등 핵심부서 ‘실세’ 박하정실장 호남인맥 대표

보건복지부에는 ‘5대 핵심 부서’가 있다. 능력은 기본이고 윗분(장관)한테서 확실히 신임받은 사람이라야 넘볼 수 있는 자리다. 건강보험정책관· 복지정책관·보건의료정책관실, 건강정책·보건산업정책국이 5대 실세 부서다.

이미지 확대
이 부서의 책임자인 국장은 고위공무원단 나급(2급)이다. 이 실세 부서 가운데 4곳(건강보험정책관, 보건의료정책관, 건강정책국, 보건산업정책국)을 총괄하는 박하정 보건의료정책실장이 실세 중의 실세로 꼽히는 것은 당연하다.

●박하정실장 장관 ‘오른팔’

광주 출신인 박 실장은 복지부 내 호남 인맥을 대표한다. 행시23회로 저출산고령사회정책국장 등 주요 보직을 거쳤다. 전재희 장관의 ‘오른팔’로 통한다. 영남 출신인 전 장관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으로 있으면서 국회를 드나들던 박 실장을 눈여겨봤던 것으로 전해졌다.

전 장관의 현안 질의에 대한 명쾌한 답변과 품성 등 자질을 우수하게 봤다는 것이다. 서울대 수학과를 나온 박 실장은 복지부 내 ‘지혜의 보고’로 통하기도 한다. 수년 전 후두암으로 한때 좌절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완치판정을 받았다.

●최원영실장은 TK 맏형

박 실장이 전 장관의 오른팔이라면 최원영(행시 24회) 기획조정실장은 왼팔로 통한다. 복지부 내 대구경북(TK) ‘맏형’으로 인정받는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국장, 복지부 국민연금정책관, 보건의료정책실장 등을 거쳤다. 특히 차관이 되기 위한 ‘필수코스’인 건강보험국장(건강보험정책관)을 지냈다.

이들과 함께 주목해야 할 인물은 손건익(행시 26회) 사회복지정책실장이다. 손 실장은 할 말은 하는 화끈한 성격의 소유자다. 유시민 전 장관은 이런 손 실장의 직선적인 성격과 강한 추진력을 높이 샀다.

전 장관도 손 실장의 위기관리 능력을 인정하고 있다. 무슨 일이든 맡겨 놓으면 깔끔하게 처리한다. ‘박·최·손’ 3인은 실세 중의 실세 부서인 건강보험국장을 지냈으며, 치열한 경쟁자이기도 하다.

●최영현정책관도 눈여겨봐야

5대 실세 국장들 가운데 특히 눈여겨봐야 할 인사는 최영현 건강보험정책관과 김강립 보건산업정책국장이다. 행시 29회인 최 국장은 제주 출신으로 보험국에서 잔뼈가 굵었다.

강원도 철원이 고향인 김 국장(행시 33회)은 전 장관의 재임 2년차 핵심 과제인 보건의료산업분야, 연구개발(R&D), 일자리 창출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후배 직원들이 함께 일하기를 원하는 간부다.

김 국장은 얼마 전 국내 한 일간지가 ‘10년 후 대한민국을 빛낼 100인’ 중 한 명으로 꼽기도 했다. 지난 2008년 대통령 업무보고 당시 이명박 대통령에게 직접 해외환자 유치 방안에 대해 질문을 던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전 장관의 신임도 높은 편이다.

●이태한정책관 복지분야 주력

이들 외에 이태한(행시 31회) 복지정책관도 무시 못할 존재다. 전 장관은 재임 1년간 복지분야에 주력했다. 이 일을 진두지휘한 간부가 이 국장이다. 지난해 저소득층에게 지원되는 각종 정부지원금을 횡령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만든 사회복지통합관리망도 이 국장의 작품이다.

최희주 건강정책국장은 지난해 신종플루 사태를 일선에서 처리한 장본인이다. 이명박 정부 초기 인수위에서 근무했으며, 청와대에서 보건복지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일했다.

노길상 보건의료정책관은 국장급 중에서는 대표적인 ‘덕장’으로 꼽힌다. 몇해 전 ‘같이 일하고 싶은 상사’ 앙케트에서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안석기자 ccto@seoul.co.kr
2010-06-0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