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트레킹코스 불만 폭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6-18 01:26
입력 2010-06-18 00:00

아스팔트길에 이정표 없어

비무장지대(DMZ)를 따라 처음 조성했다는 트레킹코스가 엉성하기 짝이 없다. 코스 대부분이 아스팔트인 데다 제대로 된 이정표도 없다.

일부 구간은 군부대 훈련장소와 겹쳐 안전사고 우려까지 낳고 있다. ‘평화누리길’이라고 이름지어졌지만 길의 의미를 되새길 풍경도 찾기 힘들다.

경기도2청이 운영하는 인터넷 카페 ‘경기도 걷는 길’에는 코스를 다녀온 뒤 실망감과 불만을 토로하는 글과 개선을 요구하는 글이 상당수 올라와 있다. 걷기에 부적합한 아스팔트 길이 지나치게 많이 포함돼 있다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행주산성~고양 코스를 다녀왔는데 찻길과 포장길이 너무 많고 표식이 잘 돼 있지 않아 이게 트레킹 코스인가 싶었다.”며 “이어지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길에 목숨을 담보로, 달리는 차와 함께 걸으라는 것이냐.”라고 비판했다. 또 “흙길을 걷고 싶어 갔는데 파주 3코스 3분의2가 포장도로였다.”며 “친구, 가족까지 데려갔는데 미안해서 혼났다.”는 내용의 글도 올라와 있다.

누리길 구간별 거리도 틀리다는 주민들의 불만도 끊이질 않는다. 휴대용 GPS에서 24㎞인 거리가 17㎞로 표시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연천코스 일부 구간은 코스 주변에 소총 사격장이 있는 곳도 있어 주민들이 걷다가 놀라기도 한다. ‘사격훈련 중이니 빨리 내려가라.’는 안내방송을 듣고 급히 길을 지나가기도 한다. 이 구간의 경우 군부대와 협의가 완료되지 않아 이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 이모(44·성남시 분당구)씨는 “전국 곳곳에 걷기 위한 길이 생기니까 무작정 우리도 만들어 보자는 식으로 아무 조사 없이 그냥 길만 정하고 표식만 단 것 같다.”고 꼬집었다.

경기도2청은 이런 지적을 수용, 최대한 비포장도로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코스를 정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 때문에 준비가 덜 된 트레킹 코스를 6·2 지방선거에 앞서 성급하게 개장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윤상돈기자 yoonsang@seoul.co.kr
2010-06-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