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지방세 감면 맘대로 못한다…총량 제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0-09-10 10:52
입력 2010-09-10 00:00

서민에 통합취득세(취득세+등록세) 분납 허용…당정 지방세제 개편안 확정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세금 감면을 결정하는 ‘지방세 자율조례제정제도’의 내년도 시행을 앞두고 지자체의 선심성 세금 감면을 막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9일 당정협의를 통해 지방세제 개편안을 확정해 지방세기본법 등의 개정안을 10일 입법예고했다.

 우선 지자체가 지방세를 감면하는 총량을 전전년도 지방세 징수액의 5% 이내로 제한하는 ‘감면 총량제’가 도입된다.

 행안부는 특히 내년에 지자체가 감면 혜택을 신설할 때는 내년 말 일몰되는 다른 감면이 끝나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수 증가분의 절반까지만 감면 총량을 허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자체가 감면 혜택을 신설할 때 지켜야 하는 객관적 기준이 마련됐으며,일몰이 도래한 감면은 원칙적으로 종료하도록 했다.

 행안부는 이번 지방세 세제개편을 통해 지자체의 선심성 감면을 막아 2015년까지 1조5천356억원의 세수 확충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취약 계층을 위한 세제 혜택도 마련됐다.

 행안부는 내년부터 취득세와 등록세를 합해 한꺼번에 부과되는 통합취득세로 인해 국민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주택과 자동차,건설기계를 등록한 개인 납세자에 한해 통합취득세를 등기할 때와 등기 후 60일 이내로 두 차례 나눠 낼 수 있도록 했다.통합취득세 분납 제도는 3년간 운영된다.

 또 화물칸 바닥면적이 2㎡ 미만인 생계형 승용차에 화물차 자동차세를 적용해 주는 혜택이 올해 말 끝날 예정이었으나 내년 이후로 연장된다.

 행안부는 지자체가 조례를 통해 지방세 전자고지나 자동이체를 신청한 주민에게 세액을 공제해 줄 수 있는 범위를 설정했다.

 전자고지와 자동이체를 동시에 신청하면 건당 300∼1천원,자동이체만 신청하면 건당 150∼500원의 세액이 공제된다.

 구체적인 공제액은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판단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