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5기 출범 100일] ‘야권 단일화’ 강원· 경남 지방공동정부 실험
수정 2010-10-08 00:46
입력 2010-10-08 00:00
새로운 시도와 성과
●김두관, 야권인사 중심 도정협의회 추진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공약에 따라 지방 공동정부의 한 형태로 야권 인사 중심의 도지사 자문기구인 민주도정협의회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등 야 3당과 시민단체 대표 등 20여명 안팎으로 구성해 이달 말 발족할 예정이다.
김 지사 측은 취약했던 야권·서민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도정에 폭넓은 의견을 반영하는 새로운 행정 시스템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민주노동당 최고위원 출신이 정무부지사를 맡고 있는 가운데 야권과 시민단체가 중심이 된 협의회의까지 도정에 끼어들면 도정 편향을 비롯해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있다.
경남도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김 지사의 뜻에 따라 도 사무를 시·군으로 대폭 이관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분석 작업을 하고 있다.
●이광재, 前민노당위원장 복지특보로
이광재 강원지사의 ‘일 중심’ 방침에 따른 강원도의 안정 속 변화도 눈에 띈다.
이 지사는 정무부지사를 경제부지사로 바꾸고 내부 인사를 발탁했다. 정무특보를 없애고 대신 일자리와 교육정책 강화를 위해 교육특보와 복지특보를 두었다. 복지특보는 민주노동당 도지사 후보로 나섰다가 이 지사와 단일화로 출마하지 않았던 전 민주노동당 강원도당 위원장을 임명해 지방공동정부의 한 형태로 꼽힌다.
강원도는 또 도와 18개 시·군, 6개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강원지역발전협의회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도민들은 협의회에 참여한 기관들이 긴밀히 협조하는 가운데 화합과 상생을 통해 강원지역 발전을 앞당기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남은 안희정 도지사가 취임한 뒤 대화와 소통의 도정에 역점을 두고 있다. 매주 열리는 간부회의가 보고 위주에서 안 지사가 취임한 뒤부터 토론 회의로 바뀌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10실국 46과 189팀이던 도청 조직을 9실국 41과 179팀으로 줄였다. 공무원노조는 서민들을 위한 고통분담을 감수하겠다며 힘을 보탰다.
전국종합·창원 강원식기자 kws@seoul.co.kr
2010-10-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