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 대해부] 9급→5급까지 최소 25.9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1-03 00:36
입력 2011-01-03 00:00
9급 공무원이 5급 사무관으로 승진하는 데 얼마나 걸릴까?

2009년 기준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승진소요 연수는 부 단위가 평균 27.6년, 정부 외청은 27.5년에 달했다.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광역지자체는 25.9년, 기초는 무려 30.05년이나 됐다.

이미지 확대
법정승진소요연수(12년)와 2배 이상 격차가 났다.

또 지방자치단체에서 6급에서 5급으로 승진하는 데 평균 11.6년이 걸려 승진소요 연수가 가장 길었다. 중앙 행정기관은 9.7년이다.

이미지 확대
정부 외청에서는 일선 조직이 큰 기관일수록 승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세청은 5급 이상 간부가 전체(4400명)의 8.2%인 360명에 불과하다. 산림청도 5급 이상 간부 비율이 전체(1805명)의 10.5%(189명)로 낮다. 관세청 관계자는 “9급 출신 중 약 80%가 사무관을 달지 못하고 퇴직하는 것 같다.”면서 “승진 자리가 부족해 20대 중반에 들어오더라도 산술적으로 50대 중후반에 사무관으로 승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토로했다.

지자체 중에서는 도가 21.9년으로 가장 짧은 반면 기초단체인 시는 30.2년에 달했다. 광역시는 27.6년, 특별시는 28.4년, 기초단체인 군에서는 29.9년이 소요됐다.

☞ [공직 대해부] 특집 시리즈 기사 보러가기

대전시의 한 관계자는 “9급으로 들어오면 사무관으로 퇴직하는 것이 보편화됐다.”면서 “더욱이 고시출신의 유입이 많아지면서 사무관 승진 기회는 점점 줄어들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2009년 말 기준 일반직 공무원 중 국가직(10만 2023명)은 5급 이상 공무원이 18.5%인 1만 8885명으로 집계됐다. 지방직(18만 8041명)은 5급 이상 간부가 9.7%인 1만 8261명에 불과했다.

사무관은 국가직의 경우 1만 2112명으로 11.9%를 차지한 반면 지방직은 1만 5261명 8.1%로 집계됐다.

직급별로는 국가직은 6급이 2만 4979명(24.5%), 지방직은 7급이 5만 8669명(31.2%)으로 공무원 숫자가 가장 많았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01-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