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인들이 현장에 비법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
수정 2011-01-19 01:06
입력 2011-01-19 00:00
지방행정의 달인 29명 오리엔테이션
“지방행정의 달인들이 지자체 현장에 전문 비법을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지방 공무원 28만명 중에서 선발된 지방행정의 달인 29명이 한자리에 모였다. 서울신문과 행정안전부가 공동주최한 ‘지방행정의 달인’ 선정자들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도시재개발분야 달인 문대열(서울 구로구 행정 5급)씨는 “지난해 도시개발 박사 학위 취득 후 대학 3곳에 겸임교수를 신청했었다.”면서 “그동안 연락이 없다가 달인 발표 직후 2곳에서 교수 선정 연락을 받을 수 있었다.”고 후일담을 전했다. 다른 공무원 표창과 달리 총 6단계에 이르는 깐깐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 만큼 이들의 전문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기능·계약직 일반직 전환 적극 지원
참석자들은 앞으로의 ‘달인 관리계획’에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전문성을 갖춘 기능직·계약직들도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게끔 일반직 전환 등 인센티브도 주문했다.
전기 기계 분야 달인 채해수(대구 달성군 통신 6급)씨는 “2002년 신지식인 공무원으로 선정됐는데 당시 공무원 네트워크가 현재는 완전히 끊어졌다.”면서 “달인을 위한 달인 선정에 그쳐선 안 된다.”고 일침을 놓기도 했다.
달인들은 또 “확신이 서면 욕을 아무리 먹어도 공무원으로서 강단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최병열(충북 괴산군 농촌지도사) 달인의 소감에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최두영 행안부 지방행정국장은 “29명 중 6명에 이르는 달인이 기능·계약직”이라면서 “지자체장들이 일반직 전환을 검토한다면 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달인 명성에 걸맞은 사후관리를 할 방침이다. 지방행정의 달인 컨설팅단을 꾸려 지자체 자문 요청에 응하고 달인의 제도적 정착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달인학교 개설… 3월 사례발표회
행안부와 서울신문은 달인 훈령 제정을 통해 달인 선정을 정례화하고 인센티브 부여 규칙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달인 학교를 개설해 이들을 중앙공무원교육원 교수요원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소양교육도 준비하고 있다.
오는 3월엔 사례발표회와 최종 등급(1~5등급) 결정, 장관 시상식 등이 예정돼 있다. 달인들은 등급별로 6개월 이상의 국외전문연수, 실적가점, 특별승진(권고)의 혜택을 받게 된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1-19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