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년 北유학생들 망명…北·불가리아 단교 위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1-25 00:00
입력 2011-01-25 00:00

50~70년대 문서 공개

북한이 1962년 유학생 망명사건으로 인해 우방국이었던 불가리아 정부와 외교단절 위기까지 갔던 사실이 공식문서로 확인됐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최근 비밀해제된 불가리아 국립 문서보존소의 북한 관련 기록물을 입수해 24일 공개했다.

이 기록물들은 1950~70년대 북한주재 불가리아 대사관에서 생산한 문서와 소피아 주재 북 대사관에서 불가리아 외무부로 발송한 문서 등 2000여장이다.

1962년 8월 이상종씨 등 북한 국비 유학생 4명은 김일성 독재 체제에 반대하며 불가리아에서 망명을 선언했다가 북한 대사관에 억류됐으나 현지 정부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북한은 유학생 망명을 허용했다는 이유로 1968년까지 6년간 불가리아와 문화교류 등을 전면 중단했다.

이번에 공개된 1968년 불가리아 외무부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대표자들은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4명의 북한 유학생들을 돌려보낼 것과 이런 불미스러운 일에 대해 사과해야만 관계 정상화를 하겠다는 입장을 강력히 고수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불가리아 정부는 1968년 9월 9일 북한 건국 20주년 즈음에 김일성 주석에게 ‘우호 관계를 회복하자’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고 북한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외교 관계가 정상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1960년대 북한과 동구권 국가 사이 외교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 사료”라면서 “유학생 망명으로 북한이 공산주의 형제국가로 불린 불가리아와 외교적 갈등까지 겪은 사실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북한이 1965년 한·일 수교를 앞두고 불가리아에까지 수교 반대 집회를 열어달라고 요청한 사실도 이번 문서에서 확인됐다.

국가기록원은 상반기 중 문서 분석을 마치는 대로 일반인들이 홈페이지에서 자료 열람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11-01-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