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폭발하면 동아시아 기온 2도 하강”
수정 2011-02-01 00:00
입력 2011-02-01 00:00
백두산이 폭발을 일으켜 마그마와 화산재 등을 분출하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기온이 2도가량 내려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백두산 천지. 이 사진은 제주시와 자매결연하는 중국 훈춘시에 취재차 간 제주지역 인터넷언론인 이슈제주의 김영하 기자가 중국쪽에서 촬영했다.
연합뉴스
국립환경과학원은 31일 2011년 연구역점과제 발표를 통해 백두산 화산폭발에 대비한 환경영향 연구를 내년까지 벌일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2009년 조사한 백두산 폭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화산 분출 직후 동아시아에서는 화산재 등이 햇빛을 차단해 기온이 2도가량 떨어지고 2개월 동안 기온이 내려간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대륙에서는 화산이 폭발하고 한달이 지난 뒤 기온이 내려가고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온도가 서서히 오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과학원은 백두산 천지가 형성된 1천여 년 전과 같은 폭발규모(50㎦ 이상 화산재 분출)를 가정해 화산 폭발 시 이산화황·오존 영향 등 한반도 대기 질 및 온도 변화 등을 예측할 계획이다.
과학원 관계자는 “화산에서 분출된 황산화물이 지상에서 8km 이상 연직 상승 후 북미,그린란드 대륙까지 확산한다는 결과도 얻었다”며 “올해 연구에서는 전 지구적인 관점보다는 한반도의 기상에 초점을 맞춰 화산폭발 영향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과학원은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으로 폐사하거나 살처분한 가축의 사체를 매몰하지 않고 생물화학적으로 분해해 처리하는 방안도 연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학원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구제역,AI 확산에 따른 긴급 매몰 처리로 침출수 오염이나 악취 등 매몰지 주변의 환경오염이 우려됨에 따라 이 같은 관리 방안을 연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화학약품을 이용한 사체의 분해 실용화를 연구하고 폐사가축 처리부산물의 자원재활용 방안을 검토해 가축의 비(非) 매몰방법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 가축 매몰지 침출수의 적정한 처리를 위해 흡착포 등을 이용한 소각처리 방안과 축산분뇨·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해 연계 처리하는 방법이 검토된다.
이밖에 과학원은 2018년 발사 목표로 추진 중인 지구환경위성의 탑재체 개발을 위해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작성하고 지구환경위성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립환경과학원은 31일 2011년 연구역점과제 발표를 통해 백두산 화산폭발에 대비한 환경영향 연구를 내년까지 벌일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2009년 조사한 백두산 폭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화산 분출 직후 동아시아에서는 화산재 등이 햇빛을 차단해 기온이 2도가량 떨어지고 2개월 동안 기온이 내려간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대륙에서는 화산이 폭발하고 한달이 지난 뒤 기온이 내려가고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온도가 서서히 오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과학원은 백두산 천지가 형성된 1천여 년 전과 같은 폭발규모(50㎦ 이상 화산재 분출)를 가정해 화산 폭발 시 이산화황·오존 영향 등 한반도 대기 질 및 온도 변화 등을 예측할 계획이다.
과학원 관계자는 “화산에서 분출된 황산화물이 지상에서 8km 이상 연직 상승 후 북미,그린란드 대륙까지 확산한다는 결과도 얻었다”며 “올해 연구에서는 전 지구적인 관점보다는 한반도의 기상에 초점을 맞춰 화산폭발 영향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과학원은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등으로 폐사하거나 살처분한 가축의 사체를 매몰하지 않고 생물화학적으로 분해해 처리하는 방안도 연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과학원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구제역,AI 확산에 따른 긴급 매몰 처리로 침출수 오염이나 악취 등 매몰지 주변의 환경오염이 우려됨에 따라 이 같은 관리 방안을 연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화학약품을 이용한 사체의 분해 실용화를 연구하고 폐사가축 처리부산물의 자원재활용 방안을 검토해 가축의 비(非) 매몰방법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 가축 매몰지 침출수의 적정한 처리를 위해 흡착포 등을 이용한 소각처리 방안과 축산분뇨·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해 연계 처리하는 방법이 검토된다.
이밖에 과학원은 2018년 발사 목표로 추진 중인 지구환경위성의 탑재체 개발을 위해 중장기 연구 로드맵을 작성하고 지구환경위성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