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내전 사태] 리비아 공관인력 부족·대응팀 파견 불투명·뒷북대책 난타…
수정 2011-02-23 00:48
입력 2011-02-23 00:00
외교부 ㅜ.ㅜ
정부 소식통은 22일 “리비아 현지 공관 인력이 부족해 사태 수습을 위해 본부에서 관계 부처 직원 3명으로 구성된 신속 대응팀을 현지에 보내려는데 비자가 나오지 않아 신속 대응팀 파견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리비아 대사관은 외교통상부·국토해양부 등 직원 5명이 일하는 소규모 공관으로, 지난 20일 한국인 근로자들이 부상을 당한 트리폴리 공사 현장 등과 연락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인력 부족에 따라 외교부는 재외공관장회의 참석차 귀국한 조대식 주리비아 대사를 이날 오후 리비아로 돌려보냈다.
정부는 지난 21일 오후 관계 부처 대책 회의를 열고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정부 당국자들은 대책 회의에서 리비아 한국 기업 근로자들이 철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업들은 사업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나갈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중소기업 관계자 9명이 일부 철수를 시작했지만 항공편이 쉽지 않다.
정부가 20일에 이어 21일 리비아에 대해 여행경보를 상향 조정한 것도 뒷북 대책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지난달 14일부터 지난 21일까지 우리 기업에 대한 피습이 6건이나 발생했고, 11일 우리 진출기업과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 ‘정세급변지역 비상대책반’을 가동했음에도 리비아 사태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해 여행경보를 뒤늦게 3단계(여행제한)로 올렸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1-02-2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